반응형

봄부터 가을까지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계절이기 때문에 기생충 감염 위험이 커지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때는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때 특히 기생충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반려동물기생충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진드기진드기
진드기

 

1. 기생충 Parasite

 

▶ 내부 기생충

임신한 어미에게 내부 기생충이 있으면 태아에게 탯줄을 통해 전염되기도 하며. 외부에서 전염되어 질병을 일으킵니다.

 전파 : 어미의 제대 감염.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 오염된 물건이나 음식에서의 감염 등에 의합니다.

 증상 : 빈혈. 설사, 구토, 식욕부진, 체중감소, 변비, 기침 등이 초기에는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 :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촌충, 원충 등 종류가 많으므로 반드시 분변을 채취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 기생충에 맞는 치료 방법을 선택합니다. 성충과 충란을 완전히 박멸할 때까지 종합기생충 약을 투여합니다.

 예방 : 2~3개월마다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투여합니다.

 

▶ 외부 기생충

 

 개선충() : 개선충은 피부밑에 굴을 파고 들어가 알을 낳고 번식하는 진드기로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사람에게 전염되기도 합니다. 이 벌레는 애견의 귀 끝과 앞 팔꿈치 꼬리 부분에 많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전신으로 번집니다.

 모낭충 : 모낭충은 털의 모낭에 기생하여 탈모를 일으키고 2차 감염이 있으면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피부에 상재하는 벌레로 면역기능이 떨어질 때 전신으로 번집니다.

 귀 진드기 : 귀의 외이도에 사는 진드기로서 초콜릿 색 귀지가 특징입니다. 애견은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귀를 털거나 긁습니다.

 벼룩 진드기 : 풀밭에 많으며 가려움증. 전신마비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촌충, 바베시아 등을 옮깁니다.

 증상 : 외부 기생충에 감염이 되면 대체로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탈모 증상을 나타냅니다. 가려움증이 적은 모낭충증은 2차 감염 시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진드기의 감염은 바베시아증을 유발하기도 해 빈혈, 황달, 혈색소뇨를 나타냅니다.

 진단 : 피부를 긁어서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피부 소파 검사를 통해 어떠한 기생충에 감염되었는가 감별한 후 치료 합니다.

 치료 : 주사제, 약물 목욕, 연고 등으로 원인에 따라 치료하며 기간은 약 3주 이상이 소요됩니다.

 

2. 기생충 구제 Disinfestation

 

▶ 기생충 구제 시의 주의사항

 사람이 사용하는 구충제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② 애견의 연령과 체중에 따라서 투약시기와 투약 방법이 달라집니다.

③ 기생충 감염이 심한 경우 1~2일의 간격으로 기생충 약을 2회 투여하여 성충을 구제하고, 2주 정도의 간격을 두고 다시 기생충 약을 투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충약으로 성충이나 유충(어린 기생충)은 구제가 되나 충란(기생충의 알)은 구제가 잘되지 않으므로 기생충 알에서 깨어나는 유충을 구제하기 위해 시간을 두고 다시 구충해 주어야 합니다.

 기생충 구제는 2~3개월 간격으로 구충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개가 구강을 통하여 기생충의 충란에 감염된 경우 장에 도달하여 유충과 성충이 되어 감염되는데 걸리는 대략적인 소요 시간은 2~3개월이기 때문입니다.

 

▶ 기생충 예방

기생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물병원에서 기생충 감염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각종 기생충의 감염 원인과 경로를 파악하여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벼룩은 개조층의 중간숙주이기 때문에 벼룩의 제거는 개조충의 예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 기생충 구제의 필요성

기생충에 감염되면 영양 손실과 빈혈. 피부병. 귓병에 걸리게 되고 간장. 심장, 폐 등 내부 장기가 손상되므로 발육이 저하되고 2차적인 세균감염도 쉽게 일어납니다. 심한 경우는 회충에 의한 장폐색으로 죽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마다 기생충 검사와 구충 프로그램으로 철저히 기생충 구제약을 투여해야 합니다.

 

▶ 심장사상충 검사 및 예방

심장과 폐의 혈관 속에 기생하는 긴 실 모양의 지렁이 같은 기생충으로 모기에 의해서 감염됩니다. 기침, 호흡곤란, 식욕부진. 혈뇨, 복수 또는 아무런 증상 없이 심장 장애를 일으켜 급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개발된 검사장비로 혈액 몇 방울만 있으면 5분 이내에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이 가장 흔히 감염되는 기생충 종류 중 하나는 벼룩과 진드기입니다. 이들은 피를 빨아먹는 동시에 다양한 질병을 전파할 수 있으며, 피부염, 저혈압, 빈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이 외부 환경에서 기생충의 알을 먹게 되면 내부에 감염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생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예방접종과 면역력 강화, 그리고 깨끗한 환경과 위생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벼룩과 진드기 등 외부 기생충에 대한 예방책으로는 충분한 위생,그리고 반려동물용 외부 기생충 방제제 사용 등이 있습니다.

만약 반려동물이 기생충 감염 증상을 보이면, 즉시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기생충 감염은 중대한 질병이 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발생했다면 바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 예방접종을 알아보자! 건강한 반려견을 위한 필수 절차

강아지 예방접종은 강아지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강아지를 처음 키우다 보면 예방접종을 어떻게 해줘야 할지 잘 몰라 궁금한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강

atoraon.tistory.com

 

 

고양이 예방접종! 고양이를 건강하게!

고양이 예방접종은 고양이의 건강을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은 감염병으로부터 고양이를 보호하며 감염병은 특히 외부에서 들어온 균에 의해 전염되기 쉽기 때문에 예방적인 조

atoraon.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